신청 완료시 관리자 계정이 생성되며, 관리콘솔에 진입이 가능해집니다.
학교명
학교의 주소 및 우편번호, 전화번호
학교의 웹사이트 주소
학생 및 직원 수(대락적)
담당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
도메인회사의 DNS 관리화면에서 정보를 등록하며 관리콘솔에서 지메일 활성화를 진행합니다.
DNS 정보 등록(MX 레코드 입력) 방법은 좀 복잡합니다. 우측 링크를 참고해주세요.
지메일 활성화까지 성공하면 워크스페이스를 체험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.
체험판인 워크스페이스는 학교 홈페이지가 있고 도메인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면 정식 승인이 됩니다.
따라서 이 과정은 생략할 수 있으며, 승인 단계를 좀 더 수월하게 보조하는 과정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.
위에서 '특별한 문제가 없다면' 승인이 된다고 했는데, 심사팀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, 구글측으로부터 메일을 받게 됩니다. 이 경우, 심사팀에서 요청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해주어야 합니다.
정식 승인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립니다. 빠르면 하루이틀 안에 승인이 되기도 하지만, 한달이 넘게 지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정식 승인이 되었다고 따로 메일이 오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, 관리자가 관리콘솔의 구독 페이지에 들어가서 수시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.